본문 바로가기
정보

맥북에서 윈도우 사용 시 한영 전환, 이젠 더 이상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완벽 해결 가

by 360jafasfe 2025. 10. 28.

맥북에서 윈도우 사용 시 한영 전환, 이젠 더 이상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완벽 해결 가

이드

목차

  1. 맥북 윈도우 한영 전환의 고질적인 문제
    • 맥북에서 윈도우를 사용하는 방법 (Boot Camp, 가상 머신)
    • 일반적인 윈도우 환경과 맥북 키보드의 차이
  2. 가장 확실한 해결 방법: 레지스트리 수정 (Boot Camp 사용자에게 최적)
    •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방법
    • 레지스트리 값 변경 (scancode map)
    • 수정된 레지스트리 적용 및 재부팅
  3. 가상 머신(Parallels, VMWare Fusion) 사용자를 위한 해결책
    • 가상 머신 프로그램 자체 설정 활용
    • Parallels Desktop 설정 방법
    • VMWare Fusion 설정 방법
  4. 보조 프로그램 및 대체 키 조합 활용
    • AutoHotkey를 이용한 커스터마이징
    • 기본 'Alt' + 'Shift' 또는 'Ctrl' + 'Shift' 조합 확인
  5. 맥북 키보드의 '한/영' 키를 윈도우에서 제대로 사용하기 위한 최종 점검
    • 키보드 드라이버 상태 확인
    • 입력기(IME) 설정 확인

1. 맥북 윈도우 한영 전환의 고질적인 문제

맥북 사용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윈도우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게임, 특정 업무용 프로그램 등 윈도우 전용 소프트웨어의 필요성 때문인데요. 맥북에서 윈도우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애플이 제공하는 **Boot Camp(부트 캠프)**를 이용해 Mac과 윈도우를 분리된 파티션에 설치하여 재부팅을 통해 사용하는 방법과, Parallels Desktop이나 VMWare Fusion과 같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프로그램을 통해 macOS 내에서 윈도우를 동시에 구동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문제는 윈도우 환경에서 맥북 키보드의 오른쪽 Command 키 또는 Caps Lock 키가 '한영' 전환 키로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전환이 되더라도 매우 불안정하거나 번거로운 키 조합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일반적인 윈도우 PC에서는 오른쪽 'Alt' 키가 한영 전환의 표준이지만, 맥북 키보드에는 해당 키가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충돌입니다. 특히 Boot Camp로 윈도우를 설치한 경우, 애플에서 제공하는 키보드 드라이버가 '한/영' 키를 오른쪽 Command 키로 매핑해주지만, 윈도우 업데이트나 기타 설정 충돌로 인해 이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잦습니다.


2. 가장 확실한 해결 방법: 레지스트리 수정 (Boot Camp 사용자에게 최적)

맥북 키보드의 특정 키(일반적으로 오른쪽 Option 또는 오른쪽 Command 키)를 윈도우의 '한/영' 키로 강제로 인식시키려면 **레지스트리(Registry)**를 수정하는 방법이 가장 확실하고 영구적입니다. 이 방법은 키보드 입력 방식을 하드웨어 레벨에서 변경하는 'Scancode Map'을 직접 설정하여 키 맵핑을 조정합니다. 이 방법은 Boot Camp 환경 사용자에게 가장 효과적입니다.

단계별 레지스트리 수정 방법:

  1.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 윈도우 검색창에 'regedit'을 입력하고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관리자 권한 필요)
  2. 경로 이동:
    • 다음 경로로 이동합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Keyboard Layout
  3. 새로운 이진(Binary) 값 생성:
    • Keyboard Layout 폴더를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 만들기(N)' -> '이진 값(B)'를 선택합니다.
    • 새로 생성된 값의 이름을 **Scancode Map**으로 지정합니다. (대소문자 구분)
  4. Scancode Map 값 입력:
    • 생성된 Scancode Map을 더블 클릭하여 이진 값 데이터를 입력합니다. 이 데이터는 키보드의 특정 키(오른쪽 Command 또는 오른쪽 Option 키)를 윈도우의 한/영 키(특정 Scancode 0x71)로 매핑하고, 원래의 키 기능을 무시하도록 지시하는 코드입니다.
    • 일반적으로 오른쪽 Option 키(맥에서는 오른쪽 Alt와 동일 위치)를 한/영 키로 사용하도록 매핑하는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00 00 00 00 00 00 00 00
      02 00 00 00 5D E0 38 E0
      00 00 00 00
      • 설명:
        • 첫 8바이트는 헤더입니다.
        • 02 00 00 00은 매핑할 키의 개수(2개: 한영 키 매핑 1개, 종료 1개)를 나타냅니다.
        • 5D E0은 한/영 키의 스캔 코드입니다. (실제로는 Right Alt의 스캔 코드를 Right Cmd에 적용하는 방식의 변형이 많습니다.)
        • 38 E0은 오른쪽 Option (Alt) 키의 스캔 코드입니다.
    • 주의: 만약 오른쪽 Command 키를 사용하고 싶다면 해당 키의 Scancode로 변경해야 합니다. 위 코드는 가장 일반적이고 안정적인 오른쪽 Option 키 매핑 예시입니다.
  5. 재부팅: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닫고 윈도우를 재부팅합니다. 재부팅 후 오른쪽 Option 키가 한/영 전환 키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3. 가상 머신(Parallels, VMWare Fusion) 사용자를 위한 해결책

Boot Camp와 달리 가상 머신 환경에서는 프로그램 자체 설정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레지스트리 수정보다 훨씬 간단하고 안전합니다. 가상 머신 소프트웨어는 맥북 키보드의 입력을 가상 윈도우 환경에 맞게 '에뮬레이션(Emulation)' 해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Parallels Desktop 설정 방법

  1. Parallels Desktop 환경 설정 열기:
    • 실행 중인 윈도우 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macOS 메뉴 바의 'Parallels Desktop' -> '환경 설정...' 또는 윈도우 창의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2. 하드웨어 및 키보드 설정:
    • '하드웨어' 탭에서 '마우스 및 키보드' 또는 '키보드 및 마우스' 설정을 찾습니다.
  3. 맥 프로파일 선택 및 키 맵핑:
    • '프로필' 또는 '키보드 레이아웃' 섹션에서 **'맥 프로파일'**이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키보드 단축키' 또는 '단축키' 섹션으로 이동하여 'Mac 단축키 사용'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 Parallels는 기본적으로 오른쪽 Option 키 또는 Caps Lock 키를 윈도우의 '한/영' 키로 매핑하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 옵션을 찾아서 원하는 키로 설정합니다. (예: Caps Lock을 '한/영'으로 매핑)

VMWare Fusion 설정 방법

  1. VMWare Fusion 가상 머신 설정 열기:
    • VMWare Fusion에서 실행 중인 윈도우 탭을 선택하고 '가상 시스템(Virtual Machine)' -> '설정(Settings)'으로 이동합니다.
  2. 키보드 및 마우스 설정:
    • 설정 창에서 '키보드 및 마우스(Keyboard & Mouse)'를 선택합니다.
  3. 키 맵핑 조정:
    • '키 맵핑(Key Mappings)' 탭을 확인합니다.
    • 여기서 '오른쪽 Option' 또는 'Caps Lock'과 같은 맥북의 특정 키를 윈도우의 'Alt' + 'Shift' (한영 전환 기본값) 등의 키 조합으로 매핑할 수 있습니다.
    • '키보드 프로파일'에서 **'Mac 프로파일'**을 사용하도록 설정하고, 윈도우의 '한/영' 전환에 해당하는 기능을 맥 키에 할당합니다.

4. 보조 프로그램 및 대체 키 조합 활용

레지스트리 수정이나 가상 머신 설정 변경이 부담스럽다면, 윈도우 내에서 작동하는 보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키 맵핑을 커스터마이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AutoHotkey를 이용한 커스터마이징

**AutoHotkey (AHK)**는 윈도우에서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키보드/마우스 입력을 재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강력한 스크립트 기반의 무료 프로그램입니다.

  1. AutoHotkey 설치:
    • 공식 웹사이트에서 AutoHotkey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2. 스크립트 작성:
    •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 '새로 만들기' -> 'AutoHotkey Script'를 선택합니다.
    • 생성된 .ahk 파일을 메모장 등으로 열고 다음과 같은 스크립트를 작성합니다. (예: 오른쪽 Command 키를 한/영 전환으로 사용)
      ; RWin (오른쪽 Command 키)을 한/영 전환 (Ctrl + Space)으로 매핑
      RWin::Send, ^{Space}
      • 주의: 윈도우의 한/영 전환 키가 기본 'Alt' + 'Shift'인 경우, RWin::Send, !+ 와 같이 스크립트를 변경해야 합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윈도우 설정에서 한영 전환 키를 'Ctrl + Space'로 변경하고 위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3. 스크립트 실행:
    • 스크립트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작업 표시줄 트레이에 아이콘이 나타나며, 이제 해당 키가 한영 전환 역할을 수행합니다.

기본 'Alt' + 'Shift' 또는 'Ctrl' + 'Shift' 조합 확인

일부 Boot Camp 설치 환경이나 윈도우 버전에 따라 윈도우의 기본 한영 전환 조합이 작동할 수도 있습니다. 맥북 키보드에는 오른쪽 Alt 키는 없지만, 왼쪽 'Alt (Option)' + 'Shift' 또는 **'Ctrl' + 'Shift'**를 동시에 눌러서 한영 전환이 되는지 시험해봅니다. 이 조합이 작동한다면, 별도의 수정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맥북 키보드의 '한/영' 키를 윈도우에서 제대로 사용하기 위한 최종 점검

위의 해결 방법을 적용했음에도 문제가 지속된다면, 윈도우 자체의 입력기 설정이나 키보드 드라이버 상태를 점검해야 합니다.

키보드 드라이버 상태 확인 (Boot Camp의 경우)

  1. 장치 관리자 실행:
    • 윈도우 검색창에 '장치 관리자'를 입력하고 실행합니다.
  2. 키보드 드라이버 확인:
    • '키보드' 항목을 펼쳐서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Boot Camp 환경이라면 'Apple Keyboard'와 같은 이름의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 만약 문제가 있다면, 'Boot Camp 지원 소프트웨어'를 다시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하여 키보드 드라이버를 최신 상태로 유지해야 합니다.

입력기(IME) 설정 확인

키보드 맵핑은 성공적으로 했더라도, 윈도우 입력기(IME) 설정이 잘못되어 있으면 한영 전환이 안 될 수 있습니다.

  1. 언어 설정 접근:
    • 윈도우 '설정' -> '시간 및 언어' -> '언어 및 지역'으로 이동합니다.
  2. 키보드 옵션 확인:
    • '한국어' 언어를 선택하고 '옵션'을 클릭합니다.
    • '키보드' 항목에서 'Microsoft 입력기'를 확인하고, **'하드웨어 키보드 레이아웃'**이 'PC 키보드'가 아닌 'Apple 키보드 (101/104키)' 등 맥북에 적합한 레이아웃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3. 한/영 키 설정 확인:
    • Microsoft 입력기 옵션에서 '키 및 터치 입력' 또는 '키보드 입력 설정'을 확인하여, '한영 전환'이 원하는 키 (Caps Lock 또는 오른쪽 Alt)로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최종적으로 확인합니다. 이 설정이 레지스트리 수정보다 우선할 수 있으므로, 레지스트리 수정 후에도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단계들을 통해 맥북 윈도우 환경에서 불편했던 한영 전환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고, 더욱 쾌적한 작업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가장 안정적인 방법은 레지스트리 수정이며, 가상 머신 사용자라면 프로그램 자체의 키 맵핑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간편합니다.